이재철 목사님 설교에서....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다고 할 때, ‘믿다’라는 동사는 헬라어로 ‘피스튜오’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피스튜오라는 동사는 우리말 ‘믿다’와는 전혀 다른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는 ‘신실하다’는 것입니다. 헬라 성경에서 ‘믿음’이라는 단어가 나올 때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신실하다’로 바꾸어서 읽으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믿음 pistis헬. faith 영어.
1) 신뢰, 확신, 확실성 2) 계약이나 약정을 존중하는 행동, 신들의 주권이나 능력 그리고 사람의 순종, 증거/보증
믿는 대로 기도하면 다 받으리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믿는 대로 기도하면 모든 것이 이루어지나요? 아닙니다. 믿는다는 말 대신 ‘신실하다’를 넣어 보세요. ‘네가 신실하게 기도하면 다 받으리라.’ 신실한 사람은 헛된 것을 구하지 않습니다. 신실한 사람은 자기 욕망을 구하지 않으며,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부인하기 위해 기도합니다. 신실한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기 위해 기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기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믿다'라는 의미와 동시에 ‘신실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헬라어로 ‘믿는다’는 것은 '행동'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한 고백이 아닙니다. 또한, 피스라는 단어는 ‘입증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가 믿는다면, 내가 믿는 것을 내 스스로 입증하는 것이 믿음입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주 예수 그리스도가 내 인생의 구원자라고 내가 믿는다면, 그것을 내 삶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그래서 교회는 행함이 되어야 합니다. 입으로 고백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 아니라, 주님을 주인이라고 고백한 대로 신실하게 행동하면서 사는 사람들의 모임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오늘날처럼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비난을 받겠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행함이 있는 곳에는 하나님의 생명이 항상 내릴 것입니다.
우리, 누가복음 10장 25절에서 37절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이 말씀은 율법사와 예수님의 대화입니다. 누가복음 10장 25절부터 읽어 보겠습니다. 어떤 율법 교사가 일어나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물었습니다. 그 목적은 바른 답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수님을 시험하여 올가미에 빠뜨리기 위함이었습니다.
율법 교사는 당시의 신학 박사와 같은 사람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직책이 없는 분이셨습니다. 율법 교사는 자신이 율법에 능통하다고 생각하며, 예수님이 자신에게 얼마나 바르게 답할 수 있는지 시험하기 위해 질문을 던졌습니다.
"선생님, 제가 무엇을 해야 영생을 얻겠습니까?" 예수님께서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율법 교사는 신명기 6장 5절과 레위기 19장 18절을 인용하며,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고 답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내 대답이 옳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율법 교사는 자신을 옳게 보이려고 다시 물었습니다.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이에 예수님께서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해 진정한 이웃 사랑을 설명하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강도를 만나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제사장과 레위인이 그를 보고도 피해 갔습니다. 그러나 한 사마리아인은 그를 불쌍히 여겨 기름과 포도주를 부어주고 상처를 싸매어 주었습니다.
이튿날, 사마리아인은 주막 주인에게 두 데나리온을 주며 그를 돌보아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통해 율법 교사에게 진정한 이웃 사랑이 무엇인지 가르치셨습니다.
사랑은 인심과 다릅니다. 인심은 일회성이지만, 사랑은 지속적입니다. 이처럼 진정한 사랑은 우리의 행동으로 입증되어야 합니다.
'Jesus Christ > 주님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에 대하여 (0) | 2024.08.22 |
---|---|
성령의 인도하심을 구하세요 - 유기성 목사님 (0) | 2024.08.21 |
개신교 7대 교파 발생 이야기 (0) | 2024.08.18 |
예상하지 못한 은혜 - 정동제일교회 직장인 예배에서 (0) | 2024.08.18 |
너 자신을 믿지 말라 (시 146:3~5) 김은호 목사 (0) | 2024.08.18 |
포도원 비유가 아니라 '포도원 주인의 비유'입니다.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