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 학습법... 리사 손
·
Others/이것 저것
메타인지의 두 단계: 모니터링과 컨트롤한국에서 메타인지는 '나 자신을 다시 바라보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여기까지는 잘 배운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왜 메타인지가 아직까지 어렵게 느껴지고, 정확하게 메타인지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무엇이 부족한지 생각해 보면, 더 설명해야 했는데 아직 못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메타인지는 두 단계가 있습니다. 하나는 모니터링이고, 다른 하나는 컨트롤입니다.한국에서는 메타인지 관련하여 '모니터링'에 집중되어 있으나, 학습에는 '컨트롤'이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그래서 이 이야기는 여러 번 했지만, 한국에서는 “아, 메타인지는 모니터링, 즉 내가 나 자신을 다시 바라보는 것이다”라는 부분까지는 잘 배우신 것 같습니다. 그것이 틀린 것은 아니고,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해서 다..
노낭최미 老娘最美
·
Others/이것 저것
저희 집사람이 중국 여행을 다녀온 지인으로부터 핸드폰 뒤에 붙이는 보조손잡이를 선물 받았는데, 거기에 老娘最美라고 씌어 있습니다.한자 그대로만 보면 '나이든 여인이 가장 아름답다'처럼 해석되는데 아무리 그래도 한국 사람에게는 나이든 여인에게 나이들었다고 대놓고 얘기하지 않기에, 무엇인가 다른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한국에서 교육 받은 대만 직원에게 질문했습니다. 답은...老娘最美 ( Lao Niang Zui Mei )이 문장은 보통 여성 본인이 타인에게 “내가 제일 이뻐!” 또는 “내가 제일 잘나가!” 라는 의미로 쓰입니다.“老娘”의 번역이 “나이든 어머니”로 직역되기 때문에 중국인의 정서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외국인에게는 오해소지가 생길 수 있어요~ ^^
부활절 결정하는 법
·
Others/이것 저것
부활절을 결정하는 일반 원칙1. 춘분 (3월 21일)그러나 교회에서는 태양력에 의한 춘분(대개 3월 21일 즈음이지만, 2025년에는 3월 20일)보다는 그냥 3월 21일로 고정을 했습니다. 2. 보름날 춘분 이후에 오는 첫 보름날 다음 주일이 부활절입니다.2025년의 경우 4월 12일(토요일)이 보름이므로, 이 원칙에 따르면 그다음 주일인 4월 13일이 부활절이어야 합니다.그러나 2025년의 부활절은 4월 20일입니다.왜 그럴까요?교회력과 태양력의 차이그러나 이때 보름날은 태양력에 의한 보름이 아니라, 교회력에 의한 보름날이 기준입니다.교회력은 율리우스력을 따르며, 19년마다 태양력과 윤년으로 인한 차이를 보정하기 때문에 교회력의 보름날은 천문학적인 음력의 보름과 차이가 생깁니다.그래서 2025년의 경..
풍경
·
Others/이것 저것
풍경(1986, 시인과 촌장)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모든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모든것들이 제자리로 돌아오는 풍경
현대 사회의 법치에 대한 희곡 한조각
·
Others/이것 저것
In the play "The Exception and the Rule" by Brecht.브레히트의 희곡 에 계급적 권력구조와 법치의 모순을 신랄하게 해부한 다음 이야기가 나옵니다.석유 사업권(oil concession)을 따내기(secure) 위해 여정에 오른 상인(a merchant)은 길잡이(a guide, 중간자)와 쿨리(a coolie, 짐꾼, 식민지 노동자)를 고용합니다. 길이 바쁜데 상인은 길잡이가 쿨리를 관대하게 다루고 있는 게 불만입니다.  길잡이는 쿨리를 부려야 할 관습을 잊고 쿨리와 친해집니다.The merchant is upset because the guide is treating the coolie too kindly, not following the usual harsh tr..
목로주점
·
Others/이것 저것
목로주점의 개념과 기원  목로주점은 좁고 기다란 나무 판인 목로((木壚)를 앞에 내놓고 술을 파는 옛 선술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영어로는 bar table? 일본어 '다찌'? 말 그대로 목로(널빤지로 만든 긴 탁자)를 설치해 손님이 술잔을 올려놓고 마시는 형태의 술집으로, 오늘날의 포장마차나 막걸리집과 비슷한 서민적인 주점입니다.한국에서 이러한 목로주점이 등장한 것은 조선 후기로 알려져 있지만, 대중에게 술을 팔고 함께 마시는 술집 문화 자체는 그 이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나아가 서양이나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선술집과 여관, 퍼브(pub) 등이 오랜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습니다.한국 전통 주점의 역사와 목로주점의 등장  우리나라에서 술집은 단순한 음주 공간을 넘어 오랫동안 '대..
金殷生 개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