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이 사람을 찾아가는 시대'... '구독 경제'를 대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이것을 데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사람이 데이터를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잘 정비되고 분석/해석된 데이터와 정보가 적시에 필요한 사람에게 delivery 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 Information on Demand... 는 IBM의 이십여 년 전 데이터 관리 및 분석에 대한 catch-phrase였다. 필요할 때 데이터가 가용하게 만들어둔다는 것이다. 그것은 대규모 프로젝트와 데이터에 대한 투자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데이터의 중복도 '관리된 중복'이라는 이름 하에 많이 발생했다. 그러나, 사람이 필요할 때 데이터가 가용한 것은 물론이고, 필요한 상황을 내가 알아차리기 전에 데이터가 찾아와야 하지 않을까?
    • Data & Analytics Curation Services. 내가 구상한 개념이다.
      • 소비자/사용자가 선택한 상품만 정기 배송해주는 시대는 지났다. 업체에서 알아서 상품을 골라 보내주자.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상품과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이른바 '큐레이팅 구독'을 하자.
      • 당뇨 환자로서 나는 새롭게 알아야 할 것이 너무 많았고 식이요법 등에서 거의 포기했다. 건강관리를 돕는 '헬스 케어'영역에서 환자에게 부족한 의학 전문성을 업체가 대신 채워주면 좋겠다. 당뇨환자를 위한 식이요법으로서 '맞춤형 식단'을 정기 배송한다면?
      • 엔솔의 경우, 생산 현장에서 정기적인 조치들을 취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것은 심각한 압박감을 준다. 만일 그렇게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으로 만들고, 넛지로서 각 라인의 담당장에게 '토스 뱅크'의 결제금액 안내처럼 어떤 조치를 취할 때가 되었음을 알려준다면 어떨까?
    • 구독 경제 - 내가 필요한 서비스나 필요한 물건을 약속한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내고 이용하는 방식. 신문이나 우유배달 등 정기 배송에서 시작했고, 렌털 산업도 구독의 일종이다. 온라인 기반 회원제 서비스가 근래 각광을 받고 있다.
      • 정액제에서 단가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B2B 사업에서 단가제 구독 서비스가 활발하다.
      • 가장 기본은 1) 편의성, 2) 가격 (지불 비용)이다. 
      • 아이폰도 구독 서비스로 하겠다는 발표도 있었다.
    • Sales Force (과거 SFDC.com)는 Siebel을 오라클이 인수한 후 구독 경제로 바꾸면서 오늘날 대표적인 CRM SaaS 업체가 되었다고 경제잡지는 주장한다. 그러나 CRM 전문가들도 그렇게 동의할까? 제품의 패키징이 관건이었을까, 아니면 CRM의 다양한 요건들 즉 Sales management 시스템과의 연계/통합 등 Siebel이 실패했던 포인트를 잘 극복했기 때문은 아닐까?
    • Spotify 베니오프 - No Software!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복잡하고 비싼 기업용 SW 대신에 웹에서 쉽게 빌려 쓰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SW의 종말' 선언이었다. 신성장동력의 하나로서 '구독'이 검토되는 이유다.
    • 자동차 업체들도 구독 모델에 뛰어들고 있다. 자동차 자체뿐만 아니라 인포테인먼트 및 FSD(완전 자율주행) 옵션 기능 등을 구독화하는 것이다.
  • 구독 경제 트렌드
    • 알아서 척척 '큐레이션' - AI가 추천하는 식단, 영양제, 화장품, 그리도 Data & Analytics Curation!
      • 본인 취향을 잘 모르는 '취알못'을 위한 정기배송 서비스. 데이터에도 '취알못'이 얼마나 많은가?
    • 틈새시장 고약 - 친환경, 펫푸드 등 이색 상품 차별화
      • '쓰레기 처리 대행' 구독 서비스 - '미고' 분리수거부터 배출까지 모두 해결 (1회 4천 원....ㅠ.ㅠ)
    • 늘어나는 멤버십 혜택 - 네이버/쿠팡/신세계 유통 공룡 격전
      • 협업을 통해 멤버십 이용자 혜택을 늘려가고 있음
      • 쿠방은 OTT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에 따라 로켓와우 멤버를 급증시켰다.
      • 토트넘 내한 경기 단독 중계, 티켓 판매 등 멤버십 회원 차별성 극대화함
    • 슬기로운 구독 생활 - '한눈에' 구독 관리 플랫폼 - 왓섭
  • 일본 전통시장의 혁신에 대한 내용이 있다. 결국, 지역 고유의 정취가 혁신의 키워드다.^^ 마치 Localization is the best Globalization.이라는 말과 같아 보인다.
    • 교토와 에도(도쿄)의 위치적 구별을 분명히 하게 되었다.
      • 특히 청수사 올라가는 길의 닌넨자카, 산넨자카를 알게 되었다.
    • 교토 전통가옥 형태 건물에, 1층은 작은 일본식 정원, 2층은 테이블이 없는 다다미방으로 구성된 '스타벅스'가 인기가 높단다.
  • 알프레드 챈들러 교수의 '상황적합성관점 (Contingency Perspective)' = Structure follows strategy. 환경-전략-조직 순차적.
    • 실패하는 기업은 조직에 따라 전략을 선택하는 우를 범한다. Strategy follows structure. 는 잘못이다.
  • 롯데의 4개 HQ사업군 : 식품, 유통, 화학, 호텔
  • 조직이나 정당의 대표 리더십을 '권력으로 보면 욕망'이고, '책임으로 보면 헌신'이다.
  • 잘못된 현재의 정책이나 상황을 바로잡으려 할 때,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미래에 대한 도전'이 필요하다. 즉 어떤 개악이었다를 너무 강조하기보다는,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서 이렇게 해야 한다고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슈를 나열할 때도 '시대정신'을 드러나게 하고 필요한 이슈들을 짚어나가는 것이 좋다.
  • 청란 - 토종닭과 오골계를 교배하여 낳은 청계 닭이 낳은 계란. 옅은 푸른색을 띠는데 일반 달걀보다 크기는 작으나 비린맛이 적고 고소하다. 콜레스테롤이 일반 계란보다 적다.
  • 엔저 현상에 따라 인본 펀드 쏠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환노출형이 유리하다. 
    • 엔화 가치가 현재 하락되어 있으므로 향후에 높아질 경우를 '기대'하는 것이다. 즉 엔화 가치가 오르면 환차익을 누릴 수 있는 환노출 상품을 고르는 것이다. 펀드명 끝에 H가 붙으면 환헤지, UH가 붙으면 환노출이다.
  • 여러 지표와 신조어들
    •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를 (장부가에 의한)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 기준. stock 기준. 낮을수록 저평가되어 있다. 롯데쇼핑이 현재 0.2라고 한다. 보유 중인 부동산에도 미치지 못한다. 미래 먹거리가 전혀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 PER (주가 수익비율) - flow 개념.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
    • 의약품 생산에서의 기준은 '리터 l'다. 예) 롯데의 대규모 투자 20만 리터 생산시설
      • 단순 위탁 생산 - CMO
      • CDMO - 신약 '개발' 단계부터 빅파마와  임상에 참여하여, 개발 성공 시 수년간 생산을 도맡는 구조.
    • 교차 네트워크 효과 = 플랫폼에서 공급자와 참여자가 동시다발적으로 늘어나며 플랫폼의 가치를 상호 증대시키는 것.
    • 다크 넛지... 무료 체험 마케팅을 펼치거나 가입경로는 쉽게 만든 후에 해지하기는 복잡하게 만들어 계약 해지를 어렵게 하는 것. 이를 막기 위해 자동 결제 일주일 전 소비자에게 안내하는 법안 등이 필요하다.

'Management > 경영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잡지 20220820  (0) 2022.08.22
경제잡지 20220811  (0) 2022.08.11
중립금리  (0) 2022.08.05
220803 경제잡지  (0) 2022.08.03
20220722경제잡지  (0) 2022.07.22
성과 평가를 어떻게 할까, 특히 Matrix 조직에서는...  (0) 2007.07.08
김은생 (金殷生) 개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