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구별하는 9가지 방법 by 공자
·
Others/이것 저것
孔子曰:“凡人心險於山川,難於知天。天猶有春秋冬夏旦暮之期,人者厚貌深情。故有貌愿而益,有長若不肖,有順懁而達者,有堅而縵,有緩而釬。故其就義若渴者,其去義若熱。故君子遠使之而觀其忠,近使之而觀其敬,煩使之而觀其能,卒然問焉而觀其知,急與之期而觀其信,委之以財而觀其仁,告之以危而觀其節,醉之以酒而觀其側,雜之以處而觀其色。九徵至,不肖人得矣。공자께서 말씀하셨다."무릇 사람의 마음은 산천보다 더 험하고, 알기는 하늘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하늘은 그래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얼굴은 너그럽지만 마음 속은 잘 드러내지 않는다. 외모는 성실한 듯하면서도 속마음은 불성실한 사람이 있고, 겉은 어른다운 듯하면서도 속은 못난 사람이 있으며, 겉은 원만한 듯하면서도 속은 강직한 사람이 있고, 겉은 건실..
고객정보 보호
·
Others/이것 저것
EMC 신입사원 의무사항인 고객정보 보호에 대한 교육과정에 나오는 삽화인데,너무 재미있어서 올립니다. ㅎ
주일 점심
·
Others/이것 저것
주일 점심은 1500원짜리... 목사님도 장로님도, 집사님도 형제, 자매도....교회 밖에서는 사장님도 부장님도 평사원도, 그리고 한국인도 다문화가정도...교회에서 주일에는 1500원짜리 같은 식사를 합니다.모두가 방긋 입니다.그러나, 이 음식도 많은 사람들의 낮아짐과 섬김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그래서 너무 맛있습니다.
배롱나무
·
Others/이것 저것
대학 친구가 시골 시댁에 내려가서 찍은 배롱나무 사진이 너무 아름다워 찾아본 내용을 남깁니다. 배롱나무는 온세상이 진푸르름으로 가득한 이 여름에, 아주 오랫동안 그 붉은 꽃잎을 드러내기 때문에, 유명한 듯 합니다.배롱나무는 원산지는 중국으로 원래의 이름은 자미화(紫微花)로 보라색 꽃이지만 우리나라에는 붉은 꽃이 많아 백일홍이라 하였다고 합니다. 또 꽃이 붉게 오래(100日) 핀다고 하여 백일홍(百日紅)인데 [배기롱나무]로 불리다가 [배롱나무]로 되었다고 합니다. 꽃 하나하나가 100일 동안 한꺼번에 피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이어 달리기를 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백일홍이라고 부릅니다.이러한 내용을 아름다운 시로 표현한 분이 있습니다. 바로 시인 도종환 입니다.목백일홍 (도종환 ..
와이로의 유래
·
Others/이것 저것
혹시...일처리를 위해 뒷거래를 한 적이 있습니까? 이른바 '와이로'를 쓴적이 있습니까? 흔히 '와이로'라면 음지에서 주고받는 뇌물을 말합니다. 부패의 대명사지요. 정확하게 말하면 와이로(わいろ)는 뇌물 회, 뇌물줄 뢰의 회뢰(賄賂)라는 일본말입니다.국립국어원은 ‘와이로’를 버리고 다듬은 말인 ‘뇌물’만 쓰도록 했습니다.(1997년 국어순화용어자료집)그러나, 그 어원이 일본어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한자어라는 설eh 있습니다. 그리고 그 상세한 배경 이야기로는 2개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나는 고려말 이규보와 관련된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조선조 숙종 때의 어느 선비 이야기 입니다. 두 내용을 소개합니다. 그러나...인터넷에서 확대재생산되고 있는 야사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꽃밭에서
·
Others/이것 저것
한 동창 친구가 초등 밴드에 올린 글입니다.가수 정훈희의 "꽃밭에서"라는 노래 가사는 본래 조선 세종 때 이조참판을 지낸 최한경 이란 분이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지은 시라고 합니다.  어릴 때부터 사모했던 고향의 이웃처자 박소저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일생을 기록한 반중일기(泮中日記)에 수록된 작품이라고 하네요. 坐中花園 (좌중화원) 꽃밭에 앉아서  膽波夭嶪 (담파요업) 꽃잎을 보네  兮兮美色 (혜혜미색) 고운 빛은  云河來矣 (운하래의) 어디에서 왔을까  灼灼基花 (작작기화) 아름다운 꽃이여  河彼矣(하피의) 그리도 농염한지 (아름다운 꽃이여)  斯于吉日 (사우길일) 이렇게 좋은 날에  吉日于斯(길일우사) 이렇게 좋은 날에  君子之來 (군자지래) 그 님이 오신다면  云何之樂 (운하지락) 얼마나 좋을까..
金殷生 개인 블로그
'Others/이것 저것'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