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친일 청산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성도들에게 회개를 강조하지만 실제 행동에서 공식적 회개가 없는 한국 기독교가장 절실하게 신도들에게 하는 이야기는 회개 아니겠습니까? 항상 회개하라, 회개해야 이제 용서받고 죄 사함을 받고 하늘나라에 가는 것이죠. 그렇게 회개를 강조하는 한국 교회가 왜 자신의 과오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회개한 적이 없는가?들어보셨습니까? 한국 교회가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에 대해서 회개했다든가, 한국전쟁 전후 시기에 서북청년단이나 이런 단체들을 만들어서 반인륜적인 행위를 벌였던 일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회개했다든가, 군사독재 시절에 본문에 등장하는 어떤 사람들의 행위나 이처럼 정권의 부당한 권력에 협조하고, 무슨 전두환 대통령을 위한 찬양을 했던 일에 대해 회개한 적이 있는지를 말입니다.회개 없는 한국 교회의 역사가 한국 교..
병든 비판 vs. 건강한 비판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본문: 로마서 2장 전후, 로마서 14장 10절 등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우리는 종종 ‘비판’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를 먼저 떠올립니다. “교회 안에서 서로 비판만 일삼는다”는 말을 들으면, 비판은 그저 분열이나 갈등을 일으키는 것처럼 여겨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오늘 본문과 여러 성경 말씀을 살펴보면, 주님은 비판 자체를 무조건 금지하시기보다, 어떻게 비판해야 하는가를 중요하게 다루십니다. “건강한 비판”이 필요하며, “병든 비판”은 경계해야 한다고 가르치십니다. 바울은 로마서를 쓰면서 유대인들이 범하고 있는 여러 가지 죄악을 지적합니다. 그런데 가장 먼저 지적한 것이 남을 판단하는 문제(로마서 2장)였습니다. 또한 로마서 14장 10절에서는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라..
염려를 멈추는 기적 같은 방법: 감사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본문: 빌립보서 4장 6~7절설교자: 김영글 목사 @2024.10.27 주일예배 설교1. 들어가는 말: 사탄 무기 경매 대회와 ‘염려’의 위험성어느 날 사탄들이 자신들의 무기를 경매하는 대회가 있었다고 합니다. 거기서 가장 높은 가격에 팔린 무기는 다름 아닌 ‘염려’였습니다.왜 ‘염려’가 그렇게 비싸게 팔렸을까요? 사탄은 사람들이 염려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때로 ‘분노’, ‘시기’, ‘정욕’ 같은 죄는 경계하면서도, ‘염려’에 대해서는 “누구나 하는 걱정 아니야?”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합니다. 그러니 사탄은 염려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우리 마음을 찢고, 나누어, 흐트러뜨립니다.미국의 기독교 작가이자 목회자인 맥스 루케이도 목사는 염려를 이렇게 비유했..
‘찐’ 크리스천: 말씀으로 세상을 뒤흔드는 사람들 ... 주경훈 목사님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본문: 사도행전 17:1-5)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오늘 본문은 사도 바울과 그 일행이 데살로니가와 베뢰아에서 복음을 전할 때 일어난 ‘소동’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소동은 바울이 일부러 무질서를 일으킨 것이 아니라, “말씀”을 들은 사람들이 그 말씀에 충격을 받고 요동한 데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이 사건은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우리에게 ‘찐’(진짜)이라는 말이 종종 들립니다. TV 예능 프로그램 중에 ‘흑백요리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20명의 ‘흑수저’ 출신 요리사와 80명의 ‘백수저’ 출신 요리사가 같은 무대에서 오로지 맛으로만 승부를 겨루는 겁니다. 계급장 떼고, 학벌 떼고, 조건 떼고, 오직 ‘진짜 실력’ 하나로 인정받는 순간이 펼쳐지는 것이죠. 이 프로그램이 인기 있는 이..
실패를 낭비하지 말고, 성장의 기회로 삼으라 (창 13:1~13) 주경훈 목사님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2025년 2월 23일 주일예배 설교국어 맞춤법 이야기로 먼저 시작합니다 ^^ '삼으라' vs. '삼아라'일상적인 상황에서 다른 누군가에게 명령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라면 어미 '-아라'를 써서 '삼아라'처럼 쓰는 것이 바릅니다. 다만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아니한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하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라면 어미 '-으라'를 써서 '삼으라'처럼 쓸 수도 있겠습니다. 따라서 오늘 설교 제목은 '삼으라'를 맞게 사용한 것으로 생각합니다~Key Points- 실패는 낭비가 아니라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 아브라함은 이집트에서의 실패 후, 하나님께로 돌아가 예배를 회복하며 믿음을 더욱 굳세게 했습니다.  - 롯은 세상의 평안과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며 소돔 근처로 갔고, 그..
창조, 타락, 구속 - 자유주의 신학의 '영역 주권'을 내 삶에 적용해보다
·
Jesus Christ/주님과 함께
- 모든 삶의 영역(가족, 교회, 국가 등)은 각자의 고유한 권위와 목적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는 하나님의 최종 주권 아래 있습니다.- 창조, 타락, 구속의 틀에서, 각 영역은 하나님의 선한 창조 질서의 일부이며, 죄로 인해 왜곡될 수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며, 각 영역이 자신의 역할을 존중할 때 더 나은 삶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창조와 조화: 각 영역의 아름다움우리는 삶의 다양한 부분—가족, 교회, 학교, 사업, 정부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이 모든 부분은 각자의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서로 상호작용합니다. 하지만 이 다른 부분들이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저는 각 영역이 ..
金殷生 개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