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로주점
·
Others/이것 저것
목로주점의 개념과 기원  목로주점은 좁고 기다란 나무 판인 목로((木壚)를 앞에 내놓고 술을 파는 옛 선술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영어로는 bar table? 일본어 '다찌'? 말 그대로 목로(널빤지로 만든 긴 탁자)를 설치해 손님이 술잔을 올려놓고 마시는 형태의 술집으로, 오늘날의 포장마차나 막걸리집과 비슷한 서민적인 주점입니다.한국에서 이러한 목로주점이 등장한 것은 조선 후기로 알려져 있지만, 대중에게 술을 팔고 함께 마시는 술집 문화 자체는 그 이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나아가 서양이나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선술집과 여관, 퍼브(pub) 등이 오랜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습니다.한국 전통 주점의 역사와 목로주점의 등장  우리나라에서 술집은 단순한 음주 공간을 넘어 오랫동안 '대..
잠실 송파의 옛모습은 왜 사라졌나? 을축년 대홍수
·
Others/이것 저것
일제 강점기이던 1925년  '을축년 대홍수'가 발생하면서 번성하던 송파나루와 송파시장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이 홍수로 인해 한강의 본류가 바뀌어 버렸습니다. 과거 샛강에 불과했던 잠실 북쪽의 신천강이 한강의 본류가 되어버리고 남쪽의 송파강은약해졌습니다. 결국 송파나루, 송파시장도 모두 몰락하여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이 일대 상인들은 전부 인근의 석촌, 가락 등지로  이주하고 말았습니다. 또한 '누에를 기르는 집', 즉 '잠실(蠶室)'의 뽕나무밭 역시 다 쓸려 내려가고 토양 자체가 모래밭이 되어 황폐해지고 버려진 땅이 되어버렸습니다.(잠실에서) 물이 빠진 뒤에는 퇴적한 모래와  진흙 때문에 도로와 마을의 흔적도 알 수 없을 정도로 황량한 모래벌판으로 변했으며, 겨우 포플라 나무와 나무 자재가 쌓인 것으로..
잠실의 변천사
·
Others/이것 저것
조선 초기만 해도 지금의 잠실은 현재의 광진구 자양동과 붙어있는 강북지역이었습니다. 잠실은 상류의 많은 흙이 쓸려 내려와 땅이 비옥했습니다. 거름 없이도 뽕나무가 잘 자라 잠실(蠶室)로 지칭되었으나 예로부터 홍수가 자주 나던 지대였습니다. 조선 중종 재임시절(1520년) 대홍수로 인하여 잠실 지역은 강북에서 떨어져 섬이 됩니다. 이 샛강을 새로 생긴 하천이라 하여 새내, 신천이라고 불렀습니다. 수심도 별로 안 깊어 배 없이도 건널 수 있고, 비가 안 오면 거의 건천이 되어 걸어다닐 수 있었다고 합니다.한강물이 넘쳐서 지류가 생겼는데, 이 샛강을 신천이라고 한다. 가물면 걸어서 건널 수 있고, 물이 불면 두 줄기 강물이 되어 저자도(압구정동과 옥수동 중랑천 하구 사이에 있던 삼각주 형태의 섬. 강남 개발과..
서양 고유명사 한자어 가차
·
Others/이것 저것
미국 : 彌利堅 : 미리견독일 : 德國,獨國 : 덕국, 독국프랑스 : 佛蘭西 : 불란서베트남 : 越南 : 월남러시아 : 俄羅斯 : 아라사영국 : 英吉利 :영길리워싱턴 : 華盛頓 : 화성돈
세계관
·
Others/생각의 흐름
얼마 전 회사에서 Key Deal Review를 하던 중에 참석자 한 분이 '듄 세계관' 얘기를 꺼냈는데, 게임과 거리가 먼 저로서는 '세계관'이란 단어의 무척 생경한 적용이었습니다. 그래서 '세계관'이란 말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창, 세계관 — 철학에서 게임까지, 그 깊이를 찾아서"당신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아주 단순한 질문처럼 보이지만, 이 물음의 답은 우리의 삶을 결정짓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옳다고 믿는지, 어떤 선택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미래를 꿈꾸는지 — 이 모든 것은 우리가 가진 '세계관'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사실, 세계관은 단지 철학자의 서재에 머물러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우리의 일상, 예술, 과학, 그리고 우리가 사랑하는 게임..
피톤치드
·
Others/이것 저것
그동안 저는 피톤치드가 과거 '산도깨비' 브랜드의 방향제에서 맡을 수 있었던 특정 냄새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피톤치드는 식물이 방출하는 다양한 항균성 휘발성 물질(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총칭이며, 그 메커니즘을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피톤치드(Phytoncide)란?피톤치드(Phytoncide)는 나무와 식물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천연 항균 물질이다. 'Phytoncide'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phyton(식물)'과 라틴어 'cide(죽이다)'의 합성어로, 곰팡이나 박테리아, 해충 등을 제거하는 식물의 자연 방어 메커니즘을 의미한다.1. 피톤치드의 생성 및 역할나무와 식물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피톤치드를 방출한다. 피톤치드..
김은생 (金殷生) 개인 블로그
'Others'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